대한민국 최초로 작명법을 학술적으로 체계화
일단 한번 지어지면 수없이 불러지는 이름은 그 사람의 일부가 되어서 음양오행의 기운을 담아 그 사람의 특성을 밖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내 자신도 조부께서 지어주신 ‘만태(萬泰)’라는 이름이 여러모로 만족스럽지 못하여 개명을 하려고 오래전부터 고민을 해오다가 차선으로 2009년 『주역(周易)』의 지산겸(地山謙)괘 구삼효사(九三爻辭)에서 그 뜻을 취하여 '노겸(勞謙)'이란 아호를 스스로 지어 불렀다.
우연의 일치일까, 이듬해 사주명리학 전공자로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대학 전임교수에 임용되는 영광을 안았다. 또 나아가 우리나라 최초로 국립대의 엄격한 학위심사도 극복하며 사주명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름이 사람의 운명을 절대적으로 좌우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선천적인 사주를 후천적으로 보완하여 음양오행의 중화(中和)에 이르게 하는 변수로서 당사자의 전공과 직업, 배우자와의 궁합, 풍수지리적 환경 등과 더불어 '이름'이라는 성명학적 요소를 결코 빼놓을 수는 없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부단한 노력으로 선천 사주와 조화를 잘 이루어 사람들의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좋은 이름을 연구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지금까지 사주명리·성명학에 관해 학술연구논문을 100편 이상 저술했다. 한중일(韓中日) 통틀어 최다 저술이다.
성명학·작명법에 한정해 살펴보면, 대한민국 최초로 작명법을 학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그 명칭을 ‘훈민정음 (모자음)오행성명학’이라고 하였다.

김만태교수가 직접 분석한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동방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족사상학회, 한국민속학회 학술지 등에 발표해서 그 내용을 검증받고 게재하였다.
위 논문들은 대한민국 최초로 작명법을 학술적으로 체계화한 논문들이다.
※ 동방문화와 사상은 제6집(2019.02), 한국민족문화는 제81집(2022.02)인데 현재 갖고 있지 않아 다른 주제로 게재했던 학술지를 사진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