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적천수(滴天髓)』 정원(貞元), 끝맺음(貞)과 다시 시작(元)
2024.08.09 12:21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1,912  

『적천수(滴天髓)』 정원(貞元), 끝맺음(貞)과 다시 시작(元)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적천수천미.jpeg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적천수(滴天髓)

중국 명대(明代, 1368~1644)초에 이르러 유기(劉基, 1311~1375)*가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적천수(滴天髓)』가 나오면서 사주명리의 철학적·형이상학적 입지를 심화시켰다. 그러나 그 내용이 너무 심오하여 이후 많은 주석서가 나오면서 『적천수』는 대표적인 사주명리서가 되었다.

* 자는 백온(伯溫)이고‚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명나라의 개국공신으로 경사(經史)에 능통했고 아울러 술수학에도 정통했다고 한다. 훗날 명태조(明太祖)가 된 주원장(朱元璋)이 그의 명성을 듣고 예를 갖춰 초빙하자 〈시무18책(時務十八策)〉을 지어서 천하를 차지하는 계책을 올림으로써 주원장을 도와 명나라를 세우는 데 일등 공훈을 세웠다.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ai-generated-8455858_1920.jpg

정원(貞元)

정원(貞元)은 『적천수』 총 64개 장의 마지막 장이다. 이는 『주역(周易)』에서 64괘의 끝에 기제(旣濟䷾)와 미제(未濟䷿)를 두어 경계하고 삼가함을 밝혀 왕도(王道)를 온전히 하려고 한 것과 통한다.

“조화는 원(元)에서 시작하여 정(貞)에서 멈추며, 다시 정(貞)과 원(元)이 회합을 시작하여 대(代)를 잇는 기틀을 잉태하는 것이다.”

造化起於元, 亦止於貞. 再肇貞元之會, 胚胎嗣續之機.


삼원(三元)에는 모두 정(貞)과 원(元)이 있으니 팔자(八字)로써 본다면 연(年)을 원(元)으로 삼고 월(月)을 형(亨)으로 삼고 일(日)을 이(利)로 삼고 시(時)를 정(貞)으로 삼으니, 연월(年月)이 좋으면 앞의 반평생이 길하고 일시(日時)가 좋으면 뒤의 반평생이 길하다.

대운(大運)으로써 본다면 처음 15년을 원(元)으로 삼고 다음 15년을 형(亨)으로 삼고 중간 15년을 이(利)로 삼고 끝의 15년을 정(貞)으로 삼으니, 원형(元亨)운이 좋으면 앞의 반평생이 길하고 이정(利貞)운이 좋으면 뒤의 반평생이 길하니 모두 정원(貞元)의 이치이다.

그러나 거기에도 정원(貞元)의 묘함이 있으니, 막다른 절벽 끝에서 살길을 만나고(절처봉생) 겨울이 다하면 봄이 오는 이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수명이 끝나더라도 죽은 뒤에 오는 운이 좋으면 그 집안은 반드시 일어나며, 죽은 뒤에 오는 운이 나쁘면 그 집안은 반드시 쇠퇴하는 것이다.

부(父)를 끝인 정(貞)으로 삼고 자(子)를 처음인 원(元)으로 삼는 것은 정(貞)의 다음에 원(元)이 일어나서 생하고 생함이 멈추지 않는(생생불식) 불변의 이치인 것이다.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