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사주명리, 진로적성, 작명, 개명, 신생아, 신생아이름, 신생아작명, 아기이름, 아기이름작명, 사주상담, 작명상담, 상호작명, 성명학, 음양오행, 직업상담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민속신앙
김만태·정지영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건지인문학 제15집 | 2016.02
1. 머리말
2. 신재효 사설에 수용된 민속신앙의 양상
2.1. 가정신앙
2.2. 마을신앙
2.3. 무속신앙
2.4. 기타신앙
3. 신재효 사설에 수용된 민속신앙의 주요 특징
4. 맺음말
조선 후기에 성행한 판소리는 당시 사람들의 삶 속에 녹아든 민속신앙의 양상을 잘 그려주고 있다.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에 나타나는 민속신앙의 다양한 양상들을 광의의 민속신앙 관점에서 가정신앙, 마을신앙, 무속신앙, 기타신앙이라는 네 가지 범주를 근간으로 고찰하였다.
여섯 마당 중에서도 <춘향가>·<토별가>·<적벽가>·<변강쇠가>보다는 <심청가>·<박타령>에 민속신앙에 관련된 내용들이 보다 다양하고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심청가>·<박타령>이 조선 후기 당시 서민들의 고단한 삶을 반영하면서도 환상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을 형상화하다 보니 자연스레 민속신앙에 관한 내용들이 더욱 많이 포함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 성격이 강한 점복신앙이 상대적으로 강조되는 점, 양반문화에 대한 의식으로 음양오행의 술수에 관한 내용이 한문투로 집중 등장하는 점은 신재효의 사설에 등장하는 민속신앙의 특징으로 민속신앙의 일반적 특징과는 사뭇 다르다. 이는 속신으로서 점복이 지닌 고유의 특성, 민속신앙과 판소리의 기반이 되는 기층문화, 신재효가 살았던 시기의 사회․문화적 경향과 그 자신의 개인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어낸 특징들이다.
핵심어: #민속신앙, #기층문화, #신재효, #판소리, #오행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