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2015.03.27 14:37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4,756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pdf (1.8M) [27] DATE : 2015-03-27 14:37:45

명리학, 사주명리, 진로적성, 작명, 개명, 신생아, 신생아이름, 신생아작명, 아기이름, 아기이름작명, 사주상담, 작명상담, 상호작명, 성명학, 음양오행, 직업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김만태 | 한국역사민속학회 | 역사민속학 제28호 | 2008.11

 

         1. 머리말
         2. 한국 맹인 점복자의 기원에 관한 논의
         3. 조선시대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4. 근대이후 맹인 점복자의 상황 변화
         5. 맹인 점복업의 구성요소별 전개양상
         6. 맺음말

 

  우리나라에서 맹인은 오랫동안 占卜者․讀經者로서 민간신앙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맹인 점복자에 관한 기록이 비록 고려 후기에 처음으로 나타나지만 점복은 그 특성상 맹인의 직종으로 적합하며, 唐代 중국에도 이미 맹인 점복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남북국시대부터 이미 맹인이 점치는 풍속이 자생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점복은 맹인의 보편적인 직업으로 가장 선호되었는데, 독경과 함께 점복을 통해 맹인은 다른 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립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점복이 매우 중요했으므로 적어도 고려시대부터는 맹인 점복자가 관직에 진출했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시대에는 맹인이면서 賤人인 경우에도 유능하면 命課學을 통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맹인을 일반적으로 ‘참봉’·‘봉사’라고도 하는 것도 조선시대 관직인 참봉(종9품)·봉사(종8품)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한말 계몽활동과 선교활동, 일제강점 후 庶政개혁, 그리고 1913년 이후 침구(鍼灸)·안마업이 우리나라 맹인의 직업으로 정착하면서 맹인 점복자는 점차 감소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삶이 척박해짐에 따라 생계수단으로 점복에 종사하는 맹인의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때를 즈음하여 도심인 서울의 남산기슭․미아리고개, 부산 영도다리 밑, 대구 달성공원 앞 등지에 맹인 점복자들이 모이면서 점복거리를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맹인 점복업은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0년대 새마을사업과 근대화과정에서 가정의 안택고사가 사라지면서 맹인 독경이 급속히 사라졌고 이와 함께 맹인 점복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점복업은 침술업과 더불어 맹인의 주요 직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제어: #복술(卜術), #점복(占卜), #독경(讀經), #점복자, #맹인, #시각장애인, #맹인, #박수무당, #점술학, #명통시(明通寺)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