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오행 중 화(火)의 태과(太過)・불급(不及)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2023.05.26 14:43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2,543  
   오행 중 화(火)의 태과(太過)・불급(不及)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pdf (512.7K) [6] DATE : 2023-05-26 14:43:20


오행 중 화(火)의 태과(太過)·불급(不及)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김용회·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0(2)호 | 2019.04

            I. 머리말
          Ⅱ. 명리학에서 ⽕기운의 태과와 불급
          Ⅲ. ⽕기운 태과·불급의 사례 분석
             1. 사례 분석
             2. 사례 분석상 ⽕기운 태과·불급의 특징
          Ⅳ. 맺음말

 사주명조 내의 오행 불균형 현상, 즉 특정 오행이 지나치게 많은 태과(太過)와 크게 부족한 불급(不及)인 상태가 장기화되면 사주 당사자는 심신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오행 불균형 현상에 의한 문제점들이 현시(現示)됨에 대비하는 지혜가 요망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주명조의 오행 중 화(火)오행의 태과와 불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명리학 원전(原典)과 『황제내경(黃帝內經)』의 火 오행 불균형에 대한 원론적 내용을 고찰한 후, 화(火)오행의 태과와 불급에 해당하는 사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화(火)가 불급(不及)일 때는 화(火)를 도와주는 목화(木火) 운(運)이 올 때, 화(火)가 태과(太過)일 때는 화(火)를 견제하는 금수(金水)의 운(運)이 올 때 건강이 유지되는 현상이 있었으므로 사주명조 중화(中火)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본 논문은 火오행에 국한된 연구라는 한계성이 있으므로 추후 여타 오행들의 태과·불급의 문제에 관한 연구들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오행, #화(火), #태과, #불급, #사주명리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