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성명문화(姓名文化)의 전개 양상에 따른 한자오행법(漢字五行法) 고찰
이재승·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25호 | 2017.12
Ⅰ. 머리말
Ⅱ. 성명 문화의 전개 양상
Ⅲ. 성명학의 한자(漢字)오행법
Ⅳ. 한자 자원오행의 고찰
1. 목성(木性) 자원의 고찰
2. 화성(火性) 자원의 고찰
3. 토성(土性) 자원의 고찰
4. 금성(金性) 자원의 고찰
5. 수성(水性) 자원의 고찰
6. 자원오행의 강약을 반영하는 성명학의 제안
Ⅴ. 맺음말
현대의 한국 사회는 개인주의 문화가 증가하면서 가문・친족의 공동체 문화와 결속을 상징하는 항렬자(行列字)에 구애받지 않고 세련되며 다복한 이름을 짓고자 하는 기층(基層) 성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사회 성명문화의 양상에 맞추어 성명학의 주요 요소인 한자오행법(漢字五行法)을 고찰하였다.
관련 문헌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성명문화가 공동체주의에서 개인주의로 변모한 과정을 살피고 성명의 필수 요소인 한자오행법을 검토하였는데 획수(劃數)에 의한 획수오행법・삼원오행법과 자원(字源)에 의한 자원오행법 중에서 자원오행법이 성명학의 이치에 보다 합당하였다. 따라서 자원오행을 심층 고찰하여 부수(部首)의 오행성에 대한 강약을 각 오행별로 분류한 후 자원의 용신(用神) 오행성이 강한 한자를 우선하여 선정하는 성명학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성명문화, #한자오행, #자원오행, #용신, #음양오행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