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민속신앙의 원형으로서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의 십이성(十二星)과 십이지(十二支)의 연관성 고찰
2023.06.17 08:07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2,423  
   민속신앙의 원형으로서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의 십이성(十二星)과 십이지(十二支)의 연관성 고찰.pdf (2.8M) [9] DATE : 2023-06-17 08:07:53


민속신앙의 원형으로서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의 십이성(十二星)과 십이지(十二支)의 연관성 고찰
김만태 | 한국민족사상학회 | 민족사상 제15권 제3호 | 2021.09

    Ⅰ. 머리말
    Ⅱ.『간명일장금』의 주요 내용
    Ⅲ.간명일장금의 핵심, 십이성
       1. 십이성의 기본특성
       2. 십이성의 배열·중첩에 따른 특성 변화
    Ⅳ. 명리학에서 십이지의 의미
    Ⅴ. 십이성과 십이지의 연관성
    Ⅵ. 맺음말

  근현대 한국인의 운명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 당사주(唐四柱)는 그 당시 전제군주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조상과 가문의 내력이라는 혈통적 조건에 따라 이미 현실 속 개인의 신분·지위·계층이 결정되는 숙명적 상황도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에서 조상궁(祖上宮)인 연지(年支, 띠)를 기준으로 개인 운명을 해석하는 틀을 정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십이지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단순한 부호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띠며 오래전부터 활용되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간명일장금에서 가장 핵심인 십이성과 십이지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신법(新法)명리학에서 십이지에 함축된 의미들은 간명일장금의 십이성과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었다. 다만 생년지[띠]를 간명의 기점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고법(古法)명리학과 공통점을 일부 갖는다.
  십이성의 기본특성과 그 배열․중첩에 따른 특성 변화에 관해서도 살펴본 결과, 『간명일장금』에 수록된 내용 안에서도 서로 불일치하고 모순되는 내용들이 많았다. 이는 일정한 간명원칙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가운데 『간명일장금』이 저술되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간명일장금, #당사주, #명리학, #사주명리, #십이성, #십이지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